Backend 13

03장 연산자

3-1. 연산자1 (산술,증감,비트,쉬프트 연산자) - %(모듈러) 는 나머지를 의미한다.- 증감연산자는 1 값을 증가, 감소를 의미한다.- 전위와 후위의 차이는 실행순서의 차이이다. => 전위는 실행순서가 1등이고, 후위는 실행순서 꼴등이다. - 등호는 다른 연산자와 함께 쓸 때 무조건 뒤에 온다. => += 인것- 비트연산자란 2진수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.- &은 and, |는 or, ^는 xor, ~는 not을 의미한다.- 2진수로 바꾸는 함수는 Integer.toBinaryString(data)- 8진수로 바꾸는 함수는 Integer.toOctalString(data)- 16진수로 바꾸는 함수는 Integer.toHexString(data)- 10진수로 바꾸는 함수는 Integer.par..

02장 자료형

2-1. 자료형의 개요- 저장할 수 있는 값의 형태를 지정- Java 프로그램의 모든 변수/상수는 자료형 선언 후 사용가능- 정수(int), 실수(double), 문자열(string) => 3가지는 꼭 기억- 선언은 딱 한번만 하면 된다. Tip : Java의 모든 변수/상수는 자료형이 먼저 선언되어야 함 - a => 공간의 이름- int a 는 정수만 저장가능한 공간이 정의된다.- 선언과 값의 대입을 분리할 수 있다. (Java는 선언하지 않으면 공간만 생성되고, 텅 빈 값이 들어간다.) - 변수/상수/메서드의 이름은 자유롭게 선택 가능- 단, 선정규칙은 준수하여야 함 - 변수 = 변할 수 있는 수- 상수 = 항상 똑같은 수 (고정된 수) - 권고사항 ☆ ☆ ☆ : 그래도 꼭 지켜주는 것이 좋다. (가..

01장 자바 시작하기

1.3 자바 개요: 인간이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명령을 작성하는 일련의 도구 사람과 가까울 수록 고급언어, 기계랑 가까울수록 기계어컴파일러 :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(문법)을 컴파일러가 기계어로 바꿔준다.        플랫폼 독립적을 이해하자. (중요)  - 플랫폼 종속- 플랫폼 독립: Java는 플랫폼 독립 -> 어디서든 다 돌아간다.: .class 또한 실행파일 => 윈도우의 .exe 파일이 실행파일인 것처럼 .class도 java의 실행파일이다.: .class는 어떤 컴퓨터에서 이해하는 실행파일일까? => 플랫폼 독립적이라면 어디서든 실행이 가능해야한다.: 실행가능하게끔 하는 원리는 JVM을 통해 가능하다. (Tip. 운영체제별 JVM은 오라클에서 제공): 운영체제 위에 JVM을 설치하여 ..